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윈도우 10 부팅 시 안전 모드로 들어가는 방법 [꼭 알아야 할 두 가지 방법!]

by 116yenbda 2024. 3. 20.

윈도우 10 부팅 시 안전 모드로 들어가는 방법 [꼭 알아야 할 두 가지 방법!]

 

컴퓨터 사용하다 보면 때때로 시스템 문제에 봉착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전 모드(Safe Mode)가 유용합니다. 안전 모드는 기본 드라이버와 시스템 파일만 로드하여 Windows를 실행하는 모드입니다. 따라서 문제를 일으키는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를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윈도우 10에서 부팅 시 안전 모드로 들어가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하나는 로그인 화면에서 바로 시작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설정 메뉴를 통해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목차

  • 윈도우 10 안전 모드란?
  • 로그인 화면에서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
  • 설정 메뉴를 통해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
  • 팁: 네트워킹 기능 포함 안전 모드 실행
  • 안전 모드 종료 방법

윈도우 10 안전 모드란?

안전 모드는 Windows를 최소한 기능만으로 실행하는 모드입니다. 이 모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기본 드라이버와 시스템 파일만 로드됩니다.
  • 타사 드라이버와 프로그램은 로드되지 않습니다.
  • 화면 해상도가 낮게 설정됩니다.
  • 데스크톱 배경이 검정색으로 표시됩니다.

안전 모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 시스템 시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 최근 설치한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확인하는 경우
  • 악성 코드 제거를 시도하는 경우

로그인 화면에서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

가장 빠른 방법은 로그인 화면에서 직접 안전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입니다.

  1. 윈도우 10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2.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화면 하단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전원 > 다시 시작"을 선택합니다.
  3. 컴퓨터가 다시 시작되면 "옵션 선택" 화면이 나타납니다.
  4.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5. 컴퓨터가 다시 시작되면 안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화면이 나타납니다.
  • 안전 모드: 기본적인 안전 모드입니다.
  •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인터넷 연결 기능이 포함된 안전 모드입니다.
  • 안전 모드(명령 프롬프트):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문제 해결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 모드입니다.
  1. 원하는 안전 모드 옵션을 선택하여 F4 키 또는 해당 숫자 키를 누릅니다.

설정 메뉴를 통해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

또 다른 방법은 설정 메뉴를 통해 안전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Windows 로고 키 + I 를 누르거나 시작 메뉴에서 "설정" 을 클릭합니다.
  2. "업데이트 및 보안" > "복구" 를 차례로 클릭합니다.
  3. "고급 시작" 옆에 있는 "지금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컴퓨터가 다시 시작되면 "옵션 선택" 화면이 나타납니다.
  5. 3번째 방법 에서 설명한 4~6번 단계를 따라 진행합니다.

팁: 네트워킹 기능 포함 안전 모드 실행

인터넷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 검색이나 드라이버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에는 네트워킹 기능이 포함된 안전 모드(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트워킹 기능이 포함된 안전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은 위의 방법과